재소자들과 함께 하는 평화인문학


사용자 삽입 이미지미국의 언론인이지 사회비평가인 얼쇼리스는 우연한 기회에 교도수를 방문해 한 여죄수와 이야기를 나누면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게 됩니다.

“왜 가난한 사람들이 존재할까요?”

이 질문에 비니스 워커라는 여죄수는 “시내 중심가 사람들이 누리고 있는 정신적이 우리에겐 없기 때문이죠”라고 대답을 합니다. 가난한 사람들에게는 중심부 사람들이 접할 수 있는 공연, 박물관, 예술, 강연과 같은 ‘인문학’을 접할 기회 자체가 없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바로 이 이야기가 노숙자, 빈민, 죄수들을 대상으로 인문학 수업을 하는 클레멘트 코스가 만들어지게 된 계기가 됩니다. 국내에서는 ‘희망의 인문학’이라고 소개되고 있는 이 인문학이 이번에는 <평화 인문학>이라는 이름으로 교도소의 재소자들을 만납니다.

인권실천시민연대(이하, 인권연대)는 <성공회대학교 평생학습사회연구소>, <연구공간 수유+너머>, <지행네트워크>, <철학 아카데미>와 함께 2008년 3월부터 안양교도소 재소자들을 대상으로 ‘평화인문학’ 교육을 진행하는데 이 프로젝트에 다음세대재단이 지원을 하게 되었습니다.

재소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인문학 교육을 뜻하는 ‘평화인문학’ 교육은 3월부터 7월까지 안양교도소에 수용중인 재소자들을 대상으로 각 2주 과정으로 5번에 걸쳐 진행합니다.

인문학적 교육과 소통을 통해 재소자의 재사회화를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평화인문학>은 쉽게 접하기 어려운 수준높은 강사들의 강의를 통해 양질의 교육을 재소자들에게 제공하고, 재소자들이 갇힌 공간의 한계를 넘어 자신과 가족, 사회 등을 진지하게 들여다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것입니다.

<평화인문학> 교육에는 고병권(수유+너머 대표), 고영직(경기문화재단 전문위원), 김민웅(성공회대 교수), 김종철(녹색평론 발행인), 김찬호(성공회대 교수), 윤세진(수유+너머 연구원), 이명원(지행 네트워크 연구위원), 조광제(철학아카데미 대표), 한재훈(서당 훈장), 한홍구(성공회대 교수) 등의 전문 연구자들이 강사로 참여하며, ‘철학하며 살아가기’ ‘닫힌 공간에서 꿈꾸기’ ‘고전으로 세상읽기’ ‘예술로 보는 삶’ ‘영화로 보는 세상’ ‘나의 삶 풀어내기’ ‘대한민국사’ ‘문화의 발견’ 등의 강좌가 진행될 것입니다.

아무쪼록 <평화인문학>이라는 새로운 시도의 사업이 좋은 결실로 이어질 수 있도록, 그래서 우리 사회가 한결 밝고 따뜻하며, 평화롭게 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이 글의 대부분은 인권실천시민연대의 홈페이지에 올려진 글 “평화인문학 교육이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를 참조, 인용하였습니다.

이 글은 다음세대재단 홈페이지에 올리기 위해 작성된 글입니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워드프레스닷컴에서 웹사이트 또는 블로그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