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맵으로 나만의 지도를 만들어봅시다.


“제주 어디가 좋아?”
“맛있는 식당좀 찾아줘”

제주에 터를 잡은지 불과 몇개월 밖에 안되는데 제주를 방문하는 지인들로부터 자주 이런 말을 듣습니다. 난감하죠. 입도 1년차가 얼마나 알겠어요. (제주에서는 입도 몇년차, 이런 말을 많이 쓰는데요. 제가 아는 입도 4년차 되는 분은 저에게 항상 입도 1년차밖에 안된걸 놀리곤 하죠)

그래도 제주에 있다고 뭔가를 알려드려야 할 것 같은데 연락이 올때마다 하나하나 전화로 응대해주기기 번거로워서 아예 “구글맵”에다가 직접 가보거나 추천받은 맛집, 관광지 정보를 표시해두고 지도URL을 보내주기 시작했습니다. (이 주소는 조만간 다시한번 정리를 한 다음에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이 구글맵의 [내 지도 만들기] 서비스를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꼭 관광과 관련된 지도가 아니더라 여러가지 방식으로 이용해볼 수 있을 것 같아서요. 제가 최근에 만들어본 지도 중 하나는 “제주 주민소환투표소 지도“인데요. 아래와 같은 지도들은 비영리단체들이 제안해서 만들어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공동편집도 가능하니까 서로 협력해서 만들어볼 수 있습니다.)

– 전국의 자연휴양림 및 생태마을 지도
– 컨퍼런스/토론회/후원회 등을 개최할 수 있는 장소 지도
– 폐수/폐기물 불법 배출로 법적 처분을 받은 공장 지도
– 전국 문화재/문화유산 지도
– 전국의 생협매장 지도 . . . .

1. 구글맵 접속하기

구글 페이지(google.co.kr)에 접속해서 [지도]를 클릭합니다.

2. URL주소 변경하기

URL창에서 maps.google.co.kr 부분을 maps.google.com 으로 변경해주고 Enter를 칩니다. maps.google.co.kr 로 접속하면 [내지도] 메뉴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 아예 google.com 으로 접속해서 Maps를 클릭하거나 maps.google.com 로 접속하면 아래 화면처럼 [My Maps] 메뉴가 있습니다만, 한글 버전을 원하시는 분을 위해 설명드립니다.

3. 내지도 만들기

2번에서처럼 URL의 co.kr 부분을 com으로 바꾸고 Enter를 치면 아래 화면처럼 [내 지도]메뉴가 나타납니다.

[내 지도]를 클릭하면 [새 지도 만들기]가 있습니다. 그 밑에는 [내가 만든 지도]의 목록이 뜨구요.

지도의 제목을 입력하고, 설명을 넣습니다. 그리고 이 지도를 [공개]로 할 것인지, [비공개]로 하여 나만 볼 것인지를 선택합니다. (자기만의 여행 계획을 짤 때는 비공개 버전도 유효하겠죠)

만약 [공개]를 선택하셨다면 [공동작업]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몇가지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공동작업자를 초대할 수 있구요. 공동작업자의 권한 혹은 모든 사용자에게 지도 편집을 허락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확인]을 누르고 지도 [저장]버튼을 누릅니다.

4. 위치 정보 입력하기

지도를 만든 다음에 할 일은 이제 지도 위에 위치를 표시하고, 그 위치에 맞는 정보를 입력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전국의 자연휴양림 지도]를 만든다고 가정하면 검색창에 알고 계신 자연휴양림 이름을 입력합니다.

검색결과 중에 하나를 선택하면 아래 화면처럼 지도 위에 위치가 표시되고, 그에 관한 간략한 정보가 팝업으로 뜹니다. 이 위치와 정보가 맞다면 [내 지도에 저장하기]를 클릭하고 저장할 지도 목록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목록을 선택하면 제목과 설명을 넣을 수 있는 입력화면이 나옵니다. 그곳에 자유롭게 위치 정보를 입력하세요. 단순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자신의 평가를 써넣어도 되고, 유의할 점 등을 써넣으셔도 됩니다. 입력 옵션은 일반텍스트, 서식있는 텍스트, HTML 편집 이렇게 세가지가 있습니다.

5. 내 지도 완료

4번과 같은 작업을 계속 해나가면 나만 볼 수 있는 지도, 혹은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특정 주제의 지도를 만들 수 있습니다. 지도위에는 아래처럼 아이콘이 표시되고,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면 여러분이 입력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6. 지도 공유하기

지도를 다른 사람과 공유하고 싶으면 오른쪽의 [링크]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지도의 URL과 삽입 소스가 나타납니다.

이상 구글맵을 활용한 나만의 지도 만들기 서비스 소개였습니다. 국내 지도에서는 [네이버]에 [내 지도] 서비스가 있는데요. Daum 지도 서비스에서도 빨리 [내 지도] 만들기 서비스가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구글맵으로 나만의 지도를 만들어봅시다.”에 대한 5 댓글

  1. 구글맵에는 스트릿뷰(StreetView)를 비롯해 정말 많은 기능이 있지만, 저는 무엇보다 내지도(My Maps)가 가장 훌륭한 기능이라고 생각합니다. 구글 계정만 있다면, 누구나 “내지도”를 활용하여 우리집 약도든, 스키장 지도든 아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다른 사람과 공유하거나 심지어는 지도를 공동으로 관리할 수도 있으니까요. 물론, 우리나라 인터넷지도에도 지도를 만들고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고 말하실 분도 계실 겁니다…

    • 와우~ 감사합니다. 종종 즐겨보고 있는데 그 포스트는 못봤네요… 지도로 할 수 있는 일들은 정말 많은거 같아요. 특히 비영리단체들이 할 수 있는 일들이요. 언제 기회되면 지도와 비영리(공익)을 주제로 한번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기회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2. 고량부 삼성을 제외한 제주 원주민들이 本을 밝힐 땐, “** 모 씨 **** 파 24대손이며 입도 11대손입니다”라고들 하죠. ㅋ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워드프레스닷컴에서 웹사이트 또는 블로그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