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에 붙어있는 듯한, 그래서 안정감을 주는 집


 

앞 글에서 언급한 사이먼 데일이 호빗하우스를 떠나 지은 집.
웨일즈의 친환경생태마을 프로젝트인 the Lammas project 일환이라고 함.

사진출처 : http://www.beingsomewhere.net/undercroft.htm
땅과 일체감을 주는 듯한 느낌이 들어서 꽤나 안정적으로 보인다. (사진출처 : http://www.beingsomewhere.net/undercroft.htm)
사진출처 : http://www.beingsomewhere.net/undercroft.htm
호빗하우스처럼 입구의 위쪽 나무는 그 곡선미를 그대로 살렸다. (사진출처 : http://www.beingsomewhere.net/undercroft.htm)
사진출처 : http://www.beingsomewhere.net/undercroft.htm
집 측면에 위치한 온실, 안에서 보면 어떤 모습일지 모르지만 더위와 추위를 막아주는 역할도 할 수 있을 듯. (사진출처 : http://www.beingsomewhere.net/undercroft.htm)
사진출처 : http://www.beingsomewhere.net/undercroft.htm
해외의 작은집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 난로. 환기통을 그대로 노출시키지 않고 그 위에 흙을 발라 보온성을 높였다. 그 이유겠지? (사진출처 : http://www.beingsomewhere.net/undercroft.htm)
사진출처 : http://www.beingsomewhere.net/undercroft.htm
사진출처 : http://www.beingsomewhere.net/undercroft.htm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워드프레스닷컴에서 웹사이트 또는 블로그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