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지리산공화국?


농업 관련 프로젝트를 고민하다가 얼마 전에 읽게된 글. 농사를 짓기 위해 시골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하는 ‘귀농’에 대해 조금 다르게 생각할 때가 된 것 같다. 사실 농사만으로 자립 생활을 영위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라는건 자명한 사실이고, 종종 TV에 나오는, 특용작물로 승부를 보는 귀농성공사례는 벤처 성공사례만큼이나 극소수일 뿐이다. 더군다나 애초부터 도시가 고향인 젊은 사람들에게 다시 돌아간다는 것도 좀 안어울리고.

시골살이학교를 시작한 이유도 그렇지만, 시골에 농사가 전부는 아니다. 농사가 삶의 기본인 사람들이 많고, 자립의 측면에서 장기적으로 농사를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사람 사는 곳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은 또 다 필요한 곳도 시골이다. 문화가 다른 생활터전일 뿐.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귀농=농사, 귀촌=전원생활과 같은 등식에 얽매이는 것이 아니다. 젊은 시절부터 쭈욱 시골에 사는 것에, 또는 젊은 나이에 도시를 떠나 시골에 오는 것에 대해 특별한 시선을 두거나 용감한 행동으로 칭송하는 것 같은 인식을 조금씩 없애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역으로 시골에 사는 것이 도시에 사는 것과 별반 다를게 없고(사람 사람 곳이 다 비슷비슷하다), 오히려 더 나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계속 만들어가는 것이 필요하다.

그 가능성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틀에 얽매이지 않는 실험들이 필요하고, 그 실험들에 참여한 사람들이 하나둘씩 늘어나야 하고, 궁극적으로는 그런 실험들이 지속가능한 일로 정착되어야 한다. 그래서 그렇게 새로운 것들을 실험하고 정착시켜나간 젊은 사람들이, 어른들은 세월을 친구삼아 한분 두분 저 세상으로 떠나시고 텅 비어버린 시골 마을의 새로운 구성원으로 자리잡아 돈과 출세에 눈이 멀어 망쳐버린 도시세계의 운영 원리와는 차원이 다른 새로운 곳으로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 그래서 지리산공화국이라면, 너무 거창한가?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워드프레스닷컴에서 웹사이트 또는 블로그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