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공익/시민/사회운동
시민사회운동과 다양한 공익활동에 관한 이야기
-
공구를 대여해주는 도서관, Tool Library
미국 포틀랜드의 도시 혁신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는 책을 보면 공구도서관(Tool Library)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국내에도 소개된 바 있고, 실제 공구도서관을 운영하기도 한다. 해외는 어떻게 운영되는지 궁금하여 검색을 통해 미국 버팔로에서 비영리단체가 운영하고 있는 The Tools Library를 살펴봤다. We provide communities the tools they need to create the change they want.우리는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원하는 변화를 만드는…
-
익명성, 무기명투표, 글로 적는 것의 장점
얼마 전 텔레그램에서 다음 날의 점심 식사에 관한 투표를 하다가 알게 된 사실이 하나 있다. 텔레그램 투표는 내가 투표를 하기 전에는 다른 사람이 어떤 항목에 투표를 했는지 알 수 없다.
-
조직의 전환
4년이 지난 2021년 1월, 우리(운영위원회)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인가한 비영리민간단체, 국세청에서 발급한 고유번호증, 기재부에서 허가해준 지정기부금단체로서의 지위를 모두 내려놓기로 했다.
-
UN SDGs 유엔 지속가능개발목표
UN SDGs(유엔 지속가능개발목표)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시행 된 새천년개발목표(MDGs) 종료 후, 2015년 9월 새로 설정 된 목표로, 2016년부터 2030년까지 새로 시행되는 유엔과 국제사회의 최대 공동목표이다. 2030년까지 17가지 주요 목표와 169개 세부목표로 해결하고자 이행하는 국제사회 최대 공동목표이며, 2015년 제70차 UN총회 및 UN지속가능개발 정상회의에서 193개국 만장일치로 제정되었다. 지속가능개발목표 원문 : https://sdgs.un.org/goals한글소개 : http://asdun.org/?page_id=192 UN SDGs – 17가지 주요…
-
일정의 기록
일을 하지 않더라도 머리에 집중해야 하는 시간, 몸을 쉬어야 하는 시간도 일정이다. 때문에 그 일정도 미리 기록해두는 것이 좋다.
-
지리산포럼 – 다보스포럼과 버닝맨축제 사이에서
이로운넷과 인터뷰했다. 지리산포럼에 궁금한 게 있다고 해서 만났는데 진짜 인터뷰가 되어버렸다. 지리산포럼의 미래에 대한 개인적인 기대는 참가자(단체)들이 기획한 프로그램이 자연스럽게 배치되는 판을 만드는 것이다. 또 하나는 격식있는 다보스포럼과 자유로운 버닝맨 축제의 중간쯤 되는 문화를 만드는 것이다. 인터뷰에서도 밝혔지만 매년 조금씩 개선해 간다면 몇 년 안에 일주일 동안 1,000명이 모여서 우리의 현재와 미래를 발표하고 대화하고 교류하는…
-
환경파괴를 막고 자연보존운동을 하는 환경단체 Oregon Wild
Oregon Wild(오리건 와일드)는 오리건 주의 산과 강,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현재의 자연환경은 지속적인 인류의 유산으로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는 환경단체다. 오리건 와일드는 이전의 Oregon Natural Resources Council(ONRC)를 계승하여 환경단체를 포함하여 야생동물과 강을 보호하는 풀뿌리단체들과 함께 1974년 설립되었다. 이들은 170만 에이커의 대지와 9만5천 에어커의 숲을 포함하여 오리건주의 가장 소중한 자연 환경을 법으로 보호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기본적으로 보호할만한…
-
에너지를 절약하는 사람들의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는 Research Into Action
1996년에 설립된 Research Into Action(RIA)는 청정 에너지 사용을 늘리고 에너지와 천연 자원의 소비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개선하고 확장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를 한다. 이들이 하는 연구의 특징은 사람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는 점이다.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기술적-경제적 솔루션은 많이 있다. 하지만 사람들이 왜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행동을 하지 않는지는 인간의 심리와 꽤 관련이 있다고 이들은 생각했다. 그래서…
-
미헌법에 여성평등권 조항을 넣기 위한 캠페인 – Vote ERA
Vote ERA(Equal Rights Amendment)는 미국 연방헌법에 성(Sex)과 관계없이 모두가 평등한 권리(equal legal rights for all American citizens regardless of sex) 조항을 넣기 위한 캠페인이다. 꽤 많은 사람들이 모르는 사실 중 하나는 미국 헌법에는 성평등 조항이 없다는 것이다. 또 미국헌법에는 여러 평등권 조항이 있는데 놀랍게도 성 평등권 조항이 없다. Vote ERA는 성 평등권 조항을 주 헌법에…
-
가족들을 위한 경제-노동정책 도입을 위해 일하는 Family Forward Oregon
Family Forward Oregon은 현 경제 체제가 일하는 가족들을 더 많이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부모, 고용주, 활동가들의 모임이다. 이들은 유급휴가와 유급병가, 유연한 일자리, 저렴한 보육 시설이 더 필요하고 이러한 정책이 가족과 지역사회 뿐만 아니라 기업에게도 더 좋다고 믿는다. 그리고 경제시스템과 직장 내에서의 인종차별과 성차별, 계층 차별 등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활동한다. 이 단체는 최근 오랜 활동을…
-
비영리조직 이사회 리더를 양성하는 Masters Leadership Program
Masters Leadership Program of Greater SanAntonio(MLP)는 더 나은 샌안토니오를 만들기 위한 교육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영리 조직이다. 2004년부터 샌안토니오의 비영리조직 이사회에서 일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해 왔다. 이 교육을 수료한 사람은 650명 이상이다. 샌아토니오의 700여개 비영리조직과 파트너십을 통해 이 교육과정의 졸업생들이 더 나은 샌 안토니오를 만드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단체의…
-
모금컨설팅과 교육을 하는 Eskin Fundraising Trainning
Eskin Fundraising Tranning(EFT)는 jim Eskin이라는 모금 전문가가 모금 교육과 모금 코칭-컨설팅-지원서비스를 하는 개인 기업이다. Eskin은 25년 동안 고등교육 분야에서 기부금을 모으는 일을 지원해왔다. 그리고 모금의 예술과 모금 과학에 대한 교육도 진행하면서 모범적인 모금 사례도 공유하고 있다. Eskin은 여러 비영리조직의 이사회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모금 교육을 하고 있다. 그는 링컨 기념관 앞에서의 마틴 루터 킹 목사의 연설에서…
-
노숙자를 보호하고 자립을 돕는 Haven for Hope
Haven for Hope는 노숙자들의 자립을 돕고 있는 비영리단체이고 노숙자들에게 희망을 주고 새로운 출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쉼터 및 돌봄 공간을 운영한다. 샌안토니오에 있는 이 공간에서 Haven for Hope는 텍사스주의 Bexar지역 노숙자들을 위한 효과적인 돌봄 시스템을 제공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노숙자들이 잘 수 있는 2개의 공간이 있는데 매일 밤 150명이 이 시설에서 잠을 자고…
-
아이들과 가족의 삶을 변화시키는 아동쉼터, The Children Shelter
아동쉼터(The Children Shelter)는 아이들의 순수함을 회복하고 가족의 힘을 강화하는데 사명을 두고, 텍사스에서 아이들과 가족의 삶을 변화시키는 최고의 기관으로서의 비전을 가지고 있는 비영리단체이다. 1901년에 만들어졌으니 117년의 역사를 가진 기관이다. 쉼터는 2017년, 샌 안토니오에서 방치된 5,588명의 아이들을 도왔다. 학대받고 방치되고 있는 아이들을 위해 일하고 있고, 이들이 제대로 된 생활을 할 수 있는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학대받거나 방치된…
-
기부자와 비영리조직을 연결하는 재단, San Antonio Area Foundation
샌안토니오지역재단(San Antonio Area Foundation)은 1964년에 설립된 커뮤니티에 기반을 둔 지역 재단이다. 비영리조직을 위한 워크숍이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다양한 지원 사업을 하고 있다. 샌안토니오지역재단은 비영리 조직들이 효과적으로 운영하면서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재단이다. 재단은 기부자와 비영리조직을 연결해주는 일을 하고 있고, 학생들에게 주는 장학금도 운영하고 있다. 또 비영리조직들의 기금을 대신 운영해주기도 한다. 기부자의 요구에 따라 환경…
-
비영리단체를 위한 클라우드 펀딩 플랫폼을 운영하는 GlobalGiving
2018년 10월 14일. 워싱턴에 있는 Global Giving을 방문. 글로벌기빙(Global Giving)은 비영리 조직과 기부자, 영리기업을 연결하는 세계적인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를 운영하는 조직이다. 전 세계의 비영리 조직들이 좀 더 효과적으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데 필요한 도구와 교육, 기부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글로벌기빙은 단지 비영리 조직과 기부자만을 연결하는 플랫폼 역할만 하는 것은 아니다. 글로벌기빙은 커뮤니티빌딩(Community Building)에 초점을 두고…
-
비영리조직과 영리기업들의 네트워크 조직, Independent Sector
2018년 10월 14일, 워싱턴에 위치한 Independent Sector 방문. Independent Sector(IS)는 미국 내비영리 조직과 영리 기업들 간의 회원 조직으로 이들 사이의 네트워크와 협력을 증진시키고, 비영리조직의 발전을 위한 공공정책을 다루고 있는 비영리조직이다. IS는 1년에 한 번씩 전체 회원 조직들이 참여하는 연례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연례 컨퍼런스 외에도 지역별 회원 행사가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활동을 통해 비영리조직의 발전을 위한…
-
2018 지리산포럼 되돌아보기
지리산포럼이 끝났다. 4년 전, 포럼을 처음 열었을 때는 교통과 숙박 등 모든 환경이 불편한 지리산 자락의 시골마을에 모여서 2박 3일 동안 우리 사회의 문제와 대안을 이야기하자는 데 올 사람이 있을까 걱정도 많았다. 그것도 유료포럼. 그래도 어찌어찌 100명이 모였고 그 이후에도 계속 100여명 이상이 참여하고 있다. 올해에는 130명 참가, 숙박인원 110명 정도. 원동력은 무엇일까? 아마 ‘지리산’이라는…
-
허락 보다는 차라리 용서를 구하라
“일을 추진할 때 항상 동의를 얻으려고 하는 것은 해로울 뿐 아니라 비생산적일 수 있다. 리더를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문제가 중요한 게 되어서는 안된다. 중요한 것은 협력을 통해 나오는 일의 질적 수준이다.” _ 피터 드러커 피터 드러커가 리더에게 들려주고 싶어 한 말이겠지만 이 말은 조직 구성원 모두에게 해당되는 이야기다. ‘허락이 아닌 차라리 용서를 구하세요.’‘허락을 구하지…
-
네트워크를 협소하게 만들 수 있는 사회혁신가라는 용어
내가 대학에서 경영학 원론 수업을 들었을 때 가장 인상깊게 들었던 이야기가 ‘혁신’이란 용어다. 교수님은 기업에게 ‘이익’은 가장 중요한 생존 조건이면서 동시에 끊임없이 혁신하기 위한 기본요소라는 의미의 말을 했던 기억이 난다. ‘혁신’은 기업의 존재 이유 중 가장 최상위에 있다고 했다. 그리고 항상 강조했다. ‘이익’을 무시하지는 않아야 한다고. 어제도 아는 분과의 개인적인 미팅 겸 일 관련 대화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