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지리산&제주도 일상
-
섬진강
하동과 구례 사이.떨어진 벚꽃잎이 듬성듬성 붙어있던 어느 도로가.하루 종일 워크숍을 끝내고 돌아오던 토요일 저녁.드넓은 섬진강에서 낚시하는 저 사람.그 시간 세상에서 제일 부러워보이던 사람.
-
하루에 두 번 눈치우기
하루에 눈을 두 번 치우는건 오랜만이다.겨울 답긴 하지만 이 정도로 좋으니눈은 오늘까지만 와라.
-
잔잔한 계곡
겨울같지 않은 날씨가 지속되는 겨울. 밤새 비가 내렸는지 촉촉한 공기와 나무가 비칠 정도로 잔잔한 계곡물이 어울리는 날.
-
시골살이학교 심화과정을 통해 느낀 점
3년간 지리산이음에서 진행한 시골살이학교의 심화과정. 1~4기 참가자들이 다시 모였다. 지금까지 이 학교를 거쳐간 사람이 40명이 조금 넘는데 이 무더위에 25명이 모였으니 꽤 많이 모인 셈이다. 참가자들이 공유해준 사진과 함께 심화과정을 통해 운영진 중 한명으로서 느낀 점 몇 가지를 적어보자면. 1. 심화과정에 온 학생들은 더 이상 긴장하고 배우려는 자세를 갖춘 예의바른 신병이 아니라 어떻게든 놀고 쉬려고…
-
나물채취
생전 처음으로, 나물 채취하러 산에 간다고 해서 새벽 일찍부터 따라 나섰다. 그 나물은 해발 1,000미터 이상에서만 자란다는 단풍취, 내려가는 이 길은 올라오던 그 길이다. 그러니까 길도 없는 산을 올라온건데, 내 이렇게 삼봉산에 갈줄은 몰랐다. 단풍취는? 펀드회원들에게 보내고 나니 하나도 안남았다. 그래도 맛은 봤다. 나물 채취하는 재미는? 쏠쏠하다. 힘은? 올라가는 길이 힘들더라. 내려가면서 이 길을 어찌…
-
모내기
동네 곳곳은 모내기 중이다. 10일쯤 후, 지리산시골살이학교 4기 학생들과의 손모내기가 예정되어 있다. 작년에 모내기할 때 기억나네. 벌써 1년이 되었다니.
-
나무 그늘 아래
햇살 많은 더운 날,저 나무 아래에 앉아있으면 딱인데.가만히 보면 나무 그늘 아래서 책 보는 사람 있음.누군지는 모름.낯선 사람이었음.
-
누워야 볼 수 있는 풍경
누워야만 볼 수 있는 풍경들이 있다.
-
봄 날의 뱀사골 계곡
봄이 오는 어느 날의 뱀사골 계곡,파랑빛과 녹색빛만 반사하고 나머지는 모두 흡수해버리는 계곡은봄에 딱 어울리는 색깔을 지니고 있다.
-
바래봉
가까운데 있으면 더 안가보게 된다고. 주말에 철쭉으로 유명한 바래봉에 철쭉이 없는 틈을 타 올라가봤다.
-
왜 산내(山內)면인지
동네 뒷산에 가면 내가 사는 이곳이 왜 산내(山內)면인지 알 수 있다.
-
곧 봄이 오려나보다
내가 서 있는 땅에는 손으로 다 잡을 수 있을 만큼의 눈발이 조금 날릴 뿐인데 산 위에 쌓인 저 눈은 미쳐 녹지 않은 눈일까? 새롭게 쌓인 눈일까? 정상에 쌓인 눈 위로 파란 하늘이 떠있는걸 보니 이제 곧 봄이 오려나보다.
-
산내놀이단의 흥부전 공연 첫 날
산내놀이단에서 진행하는 산내겨울놀이마당, 흥부전의 첫 공연.
-
천왕봉 구름
2014년 9월에 지리산 천왕봉을 다녀왔구나. 아들 소풍을 따라갔다. 이게 지금까지의 마지막 등반이었다. 내년에는 다시 가리다. _ 2022.8.20
-
면민체육대회
2년만에 찾아온 면민체육대회날, 우리 마을은 배구 1차전 탈락, 줄다리기 준결승에서 탈락, 윷놀이도 준결승에서 탈락, 400계주는 3위로 예선 탈락. 윷놀이 빼고 다 참여했으나 역부족. 끝나고 어르신 한분 태우고 집에 가는데 어르신 왈 “이제 우리 마을도 한 물 갔어.. 40년 전에는 날렸는데..” 언제나 한 경기는 재미있는데 백일마을과 중기마을의 배구시합 결승전은 꽤나 박진감넘쳤고, 또 언제나 그렇듯이 줄다리기 결승전에서는…
-
초복날의 방송
5시 50분, 동네 이장님의 방송 “….한분도 빠짐없이….” 에 잠이 깬다. 점심 때 회관으로 복달음하러 오라는걸 보니 오늘이 초복인가 보다. 6시쯤 옆 동네 이장님도 뭐라고 방송을 한다. 6시 30분쯤 그 옆 동네 이장님도 방송을 한다. 다 초복 관련 내용인 듯. 어른신들 새벽잠이 점점 더 없어지시는 것 같다. 방송하시는 시간이 점점 앞당겨지고 있다. 잠은 깨버리고 잠깐 마당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