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토닥
-
지리산에서 연결하는 사람, 공간, 마을, 세계
2020년 지리산이음이 사단법인 코드가 수여하는 ‘커먼즈 어워드’를 수상했습니다. 수상기념으로 지리산이음을 소개하는 글을 커먼즈랩에 기고했습니다. _ 커먼즈랩
-
지리산에서 들썩이는 작은 변화
사람에게 직접 지원한다. 3년간 지역 활동가 만나기 위한 현장 출장 251번. 지리산이음이 아름다운재단과 함께 운영하고 있는 지리산 작은변화지원센터가 있는데요. 마침 한겨레에서 잘 소개해줬네요.
-
마을과 풀뿌리운동 포럼 발제문 : 왜 나는 마을운동을 하는가?
#. 왜 나는 마을(풀뿌리)운동을 하나? ‘왜’라는 질문에 답할 수 있는 특별한 이유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오히려 ‘어떻게 시작하게 되었나?’라는 질문이 더 어울릴 것 같다. 지금 내가 살고 있는 마을에서 하고 있는 일을 처음부터 마을운동이나 풀뿌리운동이라고 인지하고 시작했던 것도 아니다. 단지 시민단체에서 8년, 공익재단에서 3년, 네트워크형 조직에서 3년을 일했던 경험이 내가 살고 있는 마을의 현장과 만났을…
-
농부가수 정봉현
지금(2월 15일 저녁 7시), 대전에 살면서 시를 노래하는 농부 가수 정봉현님의 토닥 공연이 진행 중이다. 대전에서 많은 분들이 토닥까지 와주셨네요. 대전에 살다가 산내에 정착하신 김은미씨가 마련해주신 공연.
-
고추 나눔
옆 동네 운봉에 살면서 농사 지으시는 분께서 지난 번 토닥에서 진행한 적정기술 강좌 잘 들으셨다고 나눠먹으라고 가져다주신 아삭고추입니다. 시골의 마을카페에서 가능한 일.
-
나무그늘 아래의 아이들
그러고보니 저 길 걸어서 가본 적이 없더라. 차를 타고 쓰윽 지나갈 때마다 눈길 한번 주는걸로 만족했던 곳. 아이들과 드로잉워크숍을 진행하기 위해서 서울에서 내려온 선생님과 야외 드로잉은 어디가 좋을까 고민하다가 생각한 곳. 이곳을 생각한건 순전히 날씨 때문이다. 무더위에 해가 쨍쨍 내리째는 여름 오후, 해를 가려주는 그날이 항상 있는 곳, 단지 나무가 크기 때문에 가림막이 되어줄 수 있을거라 생각했다. 중간에…
-
토닥 오픈했습니다.
50일간의 작업 끝에, 어제 드디어 지리산문화공간, 카페 토닥을 오픈했습니다. 그리고 오픈하는 날, 오후 늦은 시각에 개미스폰서 소셜펀딩도 100%달성되었습니다. 한 분 한 분 인사는 따로 하겠지만 지리산 자락에 마음 한쪽 얹어주신 모든 분들에게 정말 감사드립니다. 그 마음에 주민의 마음, 같이 일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더 얹어서 따뜻하고 재미있는 공간으로 만들어나가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원대한 꿈을 그려보라
어쩌면, 아마도, (이건 좋아하는 공간 이름들이네요) 한때는 지향했던 디지털 유목민과도 같은 생활을 조금은 줄이고 지금 살고 있는 지리산 자락에서 일(지리산문화공간 토닥)을 벌였더니, 친한 선배 한 명이 술먹으면서 “비록 시골 지역이지만, 이 공간을 기반으로 그 누구도 상상하지 못하는 원대한 그림을 한번 그려보라”(그게 뭔지는 본인도 모르겠다는데)는데 그런건 도대체 뭐가 있을까요?
-
토닥의 시작을 알리다
7월 11일에 제가 담벼락에 올린 글을 기억하시는 분이 계실지 모르겠네요. 처음엔 농담처럼 시작했을지 모르지만 사람들에게 그 이야기를 계속 반복해서 이야기하다보면 어느덧 이루어지더라고. 올해 1월 다시 지리산에 내려오면서부터 맘 속에 담아두었던 일이 결실을 맺을 것 같다고. 궁금증만 내보이고 말았는데 오늘에서야 이야기합니다. 제가 살고 있는 지리산 자락에 작은 공간 하나를 오픈합니다. 문화공간이기도 하고 협동조합형 카페이기도 하고 비영리단체이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