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지리산이음&토닥
-
지리산활동가대회, 감개무량
늘 지역의 변화를 생각하는 지리산권 5개 지역 활동가들이 ‘작은변화베이스캠프 들썩’에 모인 오늘. 지난 3개월 동안 지역별 모임을 통해 지역의 작은 변화를 위해 스스로 하고 싶은 일, 함께 하자고 제안하고 싶은 일에 대해 발표하고 대화하고 격려하고 지지하고 응원해주는 시간. ‘지리산 작은변화지원센터’는 지역 활동가들이 함께 정한 이 사업들을 지원합니다. 수 년 전 지리산권 5개 지역에서 무엇인가를 도모해보자고…
-
작은변화리포트 – 관계인구를 위한 6가지 조건
본 리포트는 관계인구에 관한 국내외 연구와 사례를 바탕으로 관계인구를 위한 조건과 환경을 정리한 작은변화리포트이다. 참고 및 인용자료 1. 관계인구 개념 1) 관계인구 개념의 등장 배경 2) 관계인구라는 단어의 등장 3) 관계인구의 의의 2. 일본의 관계인구 정책 3. 일본의 사례 1) 야마나시현 2) 훗가이도 중부 유바리(夕張)시 로 3) 돗토리현 히노초(日野町) 4) 나아현 아스카무라(明日香村) 4. 우리나라의 논의 …
-
목적교류형 제3의 장소
미국의 도시학자이자 웨스트플로리다 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인 레이 올든버그(Ray Oldenburg)가 제시한 개념. 집 또는 가정이라는 제1의 장소, 직장과 학교라는 제2의 장소를 잇는 제3의 장소가 새로운 교류의 장이 된다고 봤다. 카페, 펍, 동네술집, 이발소, 서점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제3의장소라는 개념을 <로컬의 발견>에서도 이야기하고 있다. 제3의 장소는 중립적이고, 누구나 평등하고, 대화 중심이고, 찾기 편하고, 단골이 있으며, 본인이 눈에…
-
지리산이음, 10년 동안 연결된 사람들
구글스프레드시트에 쌓인 지리산이음과 관련된 주소록을 통합 정리했다. 그 결과 지난 10년 간 지리산이음이 진행한 다양한 프로그램과의 인연으로 산내면을 실제로 방문한 사람의 누적 합계수는 1,478명이었다. 지리산이음이 진행한 다양한 온라인 이벤트(물품중개, 캠페인 참여 등)에 참여하여 인연을 맺은 사람의 누적 합계수는 1,133명이었다. 결과적으로 지리산이음은 10년 동안 지리산권 밖의 2,611명의 사람들과 연결되었다. (누적합계 기준, 중복을 제외한 실제 수는 계산…
-
상점 같은 도서관 ‘아이디어 스토어’
상점 같은 도서관 ‘아이디어 스토어’, 런던 빈민가를 바꾸다 – 한국일보. 2015.10.20 아이디어가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 것이 아니다. 이 기사에서 주목할 점은 2년간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면서 체계적인 전략을 세웠다는 점이다. “구청이 도서관 개선을 구상한 것은 1998년. 도서관에 왜 안 오는지, 어떤 도서관을 원하는지 묻는 것부터 시작했다. 표본으로 선택한 600명의 주민을 집으로 찾아가 1시간씩 심층 인터뷰하는 것을…
-
공간 = 콘텐츠이자 잡지
문득 유튜브에서 영화평론가 윤성은씨의 이야기를 듣다가 어디서 본 듯한 느낌이 들어서 검색을 해봤다. EBS세계테마기행 일본영화기행에 출현했구나. 본 기억이 난다. 부산일보에 ‘스크린산책’ 필진으로도 활동했다는 글을 보고, 아무런 연관성도 없이 문득 ‘공간을 하나의 콘텐츠 잡지’로 생각해보면 어떨까 싶었다. 월간, 계간, 연간 콘텐츠 잡지. 고정 코너도 있지만 기획특집도 있는 잡지. 잡지를 구독하는 것처럼 공간 콘텐츠를 구독하는 개념. 공간으로…
-
지역과 신뢰관계가 있는 커뮤니티의 힘
커버사진이 2020년 지리산포럼 사진이기도 하고.지리적 한계, 경제 규모, 인구 등 모든 게 (대)도시에 비해 작을 수밖에 없는 지역, 특히 도시가 아닌 농산어촌 시골 지역은 ‘연결의 힘’을 바탕으로 ‘지역과 신뢰 관계가 있는 느슨한 커뮤니티의 힘’을 키워야 한다. https://brunch.co.kr/@riglobalization/424
-
산책클럽
크리스마스에 맞춰 3박 4일 동안 지리산에 모여 책읽는 산책클럽 운영했다. 숲 속 숙소에 머물면서 책 읽고, 산책하고, 쉬고, 이야기하고, 자고, 먹고. 3일 동안 노트북을 한 번도 켜지 않은 것은 1년 동안 처음인 듯 하고,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잠을 오랫동안 푹 잔 것도 너무 오랜만이었다. 프로그램을 운영하다보면 운영자가 오히려 더 배우고 영감을 얻는 경우가 있는데,…
-
지리산에서 연결하는 사람, 공간, 마을, 세계
2020년 지리산이음이 사단법인 코드가 수여하는 ‘커먼즈 어워드’를 수상했습니다. 수상기념으로 지리산이음을 소개하는 글을 커먼즈랩에 기고했습니다. _ 커먼즈랩
-
지리산에서 들썩이는 작은 변화
사람에게 직접 지원한다. 3년간 지역 활동가 만나기 위한 현장 출장 251번. 지리산이음이 아름다운재단과 함께 운영하고 있는 지리산 작은변화지원센터가 있는데요. 마침 한겨레에서 잘 소개해줬네요.
-
바람커피 다녀가다
이틀 전, 이담님께서 커피를 내려주기 위해 토닥에 오셨다. 바람커피와 여행이야기와 함께. 그리고 이틀간 지리산 정기를 듬뿍 받아가신 듯. 그치요?
-
농부가수 정봉현
지금(2월 15일 저녁 7시), 대전에 살면서 시를 노래하는 농부 가수 정봉현님의 토닥 공연이 진행 중이다. 대전에서 많은 분들이 토닥까지 와주셨네요. 대전에 살다가 산내에 정착하신 김은미씨가 마련해주신 공연.
-
지리산 시골살이학교 참가자 모집 글을 올리고
시골에 산다고 꼭 농사를 짓는 것은 아닙니다. 물론 농사는 기본으로 누구는 조금, 누구는 많이 합니다. 도시를 떠나 시골에 정착하는 것이 특별한 일은 아닙니다. 도시를 회피하는 부정적 선택이 아니라 우리가 언제든지 선택할 수 있는 삶의 방식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이름도 귀농/귀촌학교가 아니라 시골살이학교라고 했습니다. 지리산 자락, 남원 산내면에서 열리는 첫번째 시골살이학교는 시골살이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에는 무엇이…
-
토닥을 차지하고 있는 아이들
오전에도, 오후에도 오늘 카페는 청소년들 차지네요. 증명사진 찍으로 오는 친구도 3명이나 있었고, 하나 둘씩 점심 이후부터 모이기 시작하더니 어느새 19명이 되었다. 거의 다 만화책 삼매경. “아그들아, 음료는 주문하지 않아도 된단다. 대신 손님들이 오면 조금씩 붙어앉아서 자리 좀 만들어주라.” 이 사진을 보니 2014년 봄에도 일주일에 하루 이틀씩 카페에서 일을 했구나. 그때는 하루 종일 커피를 내리기도 했다.…
-
전국마을신문워크숍
올해 지리산 자락, 남원 산내면에서 6월 14일~15일, 전국마을신문워크숍을 개최합니다. 어제, 대전에서 이를 위한 사전모임이 있었습니다. 20여분 모였는데 이 분들이 모두 공동제안자이시고요. 현재 마을신문 만들고 계신 분들이나 마을신문을 만들고 싶으신 분들은 일정 예약해두세요. 대전에서 이 사전모임을 정성스레 준비해주신 민양운샘, 최장희샘.. 감사!~ 산내마을신문도 화이팅!
-
토닥에 다녀가신 분이 남긴 글
그랬다. 그때는. 창업으로 표현해준 분도 있었구나.
-
토닥에 온 부산 손님
부산에서 지리산으로 탐방오신 분들에게 토닥의 공동운영자 임현택이 지리산문화공간 토닥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이 시간. 감꽃홍시에서는 오늘 토닥 김장한다고 고기가 익고 있다는데. 아, 배고파.
-
고추 나눔
옆 동네 운봉에 살면서 농사 지으시는 분께서 지난 번 토닥에서 진행한 적정기술 강좌 잘 들으셨다고 나눠먹으라고 가져다주신 아삭고추입니다. 시골의 마을카페에서 가능한 일.
-
[소셜잇수다] 조아신의 시민운동2.0
토닥을 시작하고 처음 한 인터뷰였다. 이렇게 미디어에 소개될 지 모르고 편하게 이야기했는데 거의 전체 텍스트가 올라와서 좀 민망했다. 지금 다시 읽어보면 그 당시 이야기한 것 중 틀린 것도 있다. 그래도 생각의 결은 지금과 비슷하다. 원문은 여기에 있다. _ 2022.8.4 그는 1인 시민 운동가다. 여러 시민단체와 사회적기업에 발을 걸치고 있지만, 일반적인 고용 관계로 일하진 않는다. 비슷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