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정책박람회에 대한 회고


[2017 서울 정책박람회가 끝난 후] 작년까지 정책박람회는 ‘시민의 제안을 정책화한다’는 컨셉이었다. 다른 말로 하면 “시민의 제안을 받아주세요.” 그 제안의 수용 여부, 즉 정책결정권은 지방 정부에 있었다. 다양한 시민의 제안을 정책에 반영한다는 시도는 신선했으나 여전히 결정권이 단체장과 공무원들에게 있는 한계는 명확했다. 받아주면 좋고, 받아주지 않으면 어쩔 수 없다.

단체는 집단의 힘을 이용해 계속 요구할 수 있으나 시민 개개인은 지방정부의 판단을 수용할 수밖에 없었다. 안되는 이유는 꽤 복잡하지만, ‘할 수 있는 것을 해준다’로는 정치와 행정의 민주주의를 달성할 수 없다. 결국 정치와 행정의 시스템이 혁신되거나 더 깊은 민주주의가 제도화되지 않으면 선한 의지를 지닌 단체장과 공무원에 의지할 수밖에 없다.

제안을 넘어 그 다음 단계로 가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참여민주주의에 한 발 더 들어가게 하는 과정은 무엇일까?

2016년 하반기부터 몇 개월 동안 광장에 모인 시민들은 ‘내가 나라의 주인이다’고 이야기했다. 이 요구의 이면에는 중앙/지방정부에게 경청과 소통, 그 이상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요구가 있다. 정부는 나라의 주인들이 결정한 내용을 예산과 제도를 잘 검토해서 잘 수행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 결정은 시민이 하고, 그 결정의 취지를 잘 살려고 정책화하는 것이 정부의 몫이어야 한다.

올해 정책박람회는 시민들이 제안한 정책을 온라인, 거리, 현장 직접 투표로 결정하면 서울시는 100일 동안 그 결정을 시행할 것을 전제로 구체적인 법과 제도, 예산을 따져서 정책화하고, 이를 시민들에게 보고하도록 했다. 방향을 전환했다. 박람회 기간 중의 특별한 캠페인이었지만 이것은 새로운 시도를 넘어 일상화되고 제도화되어야 한다.

4년에 한 번 투표로 정치인과 단체장을 뽑고, 모든 권한을 위임을 해서 맡기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으로 우리의 삶을 좌우할 정책들을 제안하고, 투표하고, 그 투표결과를 토대로 중앙/지방정부는 정책화한 후에 다시 시민들에게 보고하도록 하는 민주주의로 가야 한다.

중앙/지방 정부는 국민의 위임을 받은 일을 하는 곳이다. 국민의 목소리를 들어주는 곳 정도로 만족해서는 안된다. 경청과 소통을 넘어 참여와 결정으로, 방향을 그렇게 전환한 것, 아쉬움은 남지만 이 정도에 의미를 부여하고 싶다.

“시장님, 우리의 제안을 받아주세요”라는 부탁, “우리의 제안을 수용해줘서 고맙습니다”라는 감사의 인사가 민주주의일 수는 없다. 선한 단체장과 공무원의 의지로 민주주의가 달성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워드프레스닷컴에서 웹사이트 또는 블로그 만들기